램(RAM)이란?
램은 컴퓨터를 작업장이라고 치면, 작업용 책상의 역할을 하는 장치로, 크기(용량)이 클 수록 큰 작업(프로그램) 또는 많은 작업을 처리하기 좋아진다.
정확히는 Random Access Memory의 약자로, 무작위로 접근 가능한 기억 장치를 말한다. 국내에서는 정확한 표현은 아니지만 그냥 기억 장치를 의미하는 ‘메모리’로 부르기도 한다.
여기서 랜덤 액세스(무작위 접근)이란, 데이터를 책이라고 치면 1페이지부터 순차적으로 읽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임의의 페이지로 바로 접근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컴퓨터가 실행 될 때, 데이터의 이동 경로를 간단히 본다면 저장 장치(SSD) → 램(RAM) → CPU 또는 GPU의 캐시 메모리 → CPU / GPU 계산의 순서다.
여기서 “저장 장치”, “램”, “캐시 메모리” 모두 메모리(기억 장치)인데, SSD등의 저장 장치를 많은 양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를 유지하며, 램과 캐시 메모리는 비교적 작은 양의 데이터가 기록되며 컴퓨터의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소실된다.
각각 장치의 속도는 캐시 메모리 > 램 > 저장장치의 순서다.
요약 하자면, 램은 데이터가 잠시 저장되는 중간 점 역할을 하는 저장 장치다.
컴퓨터 램의 종류
- 규격 / 용도 : 데스크탑 / 노트북
- 방식 : 모듈 / 온보드
- 버전 : DDR1 ~ DDR5
- 용량 : 4GB ~ 64GB
- 기능(성능) : 일반 / XMP
- 기능(안정) : 일반 / ECC
- 제조사 : 삼성, 하이닉스, 마이크론
컴퓨터 램 종류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 램 구매 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용도와 버전의 두 가지다. 이는 잘못 구매하면 아예 사용이 불가능하다.
그 다음 고려 요소는 용량 > 제조사 정도고, 다음으로 나머지 기능성을 볼 수 있다.
규격 : 데스크탑 램 / 노트북 램
구분 (쿠팡 구매 링크) | 규격 명칭 |
데스크탑 램 | UDIMM |
노트북 램 | SO-DIMM |
아주 기본적인 종류 구분으로, 노트북 램과 데스크탑 램은 물리적인 크기 차이가 2배 정도라 서로 호환될 수 없다.
버전 : DDR
데크스탑 램 구매 | 노트북 램 구매 |
DDR3 데스크탑 램 | DDR3 노트북 램 |
DDR4 데스크탑 램 | DDR4 노트북 램 |
DDR5 데스크탑 램 | DDR5 노트북 램 |
DDR은 Double Data Rate의 약자로, 90년대 말에 표준화 된 메모리 규격이다. DDR2, DDR3 등으로 버전업 하며 성능이 향상되어 왔는데, 버전이 다르면 서로 호환이 되지 않는다.
실수로 다른 버전의 램을 장착하지 못하도록 홈의 위치로 구분이 되므로 메인보드와 호환되는 정확한 버전을 사용해야 한다.
제조사 종류
대표 제조사 | ||
삼성전자 | SK 하이닉스 | 마이크론 |
컴퓨터 램 제조사는 위의 3개 업체가 대표고, 이외에는 중국과 대만 기업이 있다.
표시된 램 성능이 같다면 사실상 사용에 차이가 없으므로, 구매 시 가격이 더 저렴하거나 취향대로 구매해도 무방하다. 램 오버클럭으로 한계까지 램 성능을 올려 사용하려는 경우, 하이닉스 램이 요즘 기준으로는 수율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오버클럭 램 : XMP / EXPO 메모리
인텔 | AMD |
XMP 램 | EXPO 램 |
오버클럭 램 제조사 | |
지스킬 (G.SKILL) | 에센코어 클레브 (KLEVV) |
TeamGroup | 커세어 (CORSAIR) |
패트리어트 (PATRIOT) | GeIL |
오버클럭으로 성능을 올린 램. 일반적으로는 구매할 필요 없다.
삼성, SK 등의 제조사에서 만든 램 중 수율(잠재 성능) 좋은 램을 선별하여 성능을 기본형 보다 높게 오버클럭한 Profile을 내장하고, 증폭된 성능으로 발생하는 추가적인 열에 대응하기 위한 방열판을 달아 출시하는 제품이다.
XMP(Extreme Memory Profile)는 인텔, EXPO(Extended Profiles for Overclocking)는 AMD에서 쓰는 용어다.
메인보드와 CPU에서 이런 램을 지원해야 사용이 가능하며, 장착한 뒤 메인보드 바이오스에서 활성화해야 오버클럭된 사양으로 동작한다.
ECC 메모리
주로 서버, 워크스테이션 등에 쓰이는 램.
ECC(Error correction code)로 불리며 추가적인 알고리즘으로 램에 데이터 오류가 생기는 것을 검출하고 수정한다. 여기에 REG(Registered) 버전이 있는데, 추가적인 버퍼로 메모리 컨트롤러의 부담을 줄인 제품이다.
ECC 기능은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며, 지원하지 않는 보드에 장착 시 일반 램으로 동작한다. ECC/REG램의 경우 일반 보드에서는 아예 사용할 수 없다.
램은 일반적으로 오류가 흔하게 발생하지는 않지만, 램 오류로 인한 시스템 에러 발생 시 큰 손해를 입을 수 있는 서버, 워크스테이션 및 기업 시스템 구축 시 사용한다.
온 보드 메모리
소형 전자기기에 쓰이는 칩셋 형태의 메모리. 메인 보드에 직접 결착 하는 형태로 전용 장비 없이는 교체가 어렵다. 일부 노트북 제품에도 사용된다.
앞서 설명한 모든 칩셋 형태가 아닌 램을 ‘모듈’형 램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램 모듈 종류
- DIMM (Dual In-line Memory Module) : 현재 표준 메모리 모듈
- UDIMM (Unbuffered) : 일반 PC용 모듈
- SO-DIMM (Small Outline) : 소형 램 모듈
- RDIMM (Registered) : ECC/REG용 버퍼를 사용하는 메모리 모듈
- CUDIMM (Clocked Unbuffered) : DDR5 부터 등장한 새로운 표준 모듈. 현재는 상급 메인보드에서만 지원된다.
컴퓨터 램 종류 요약
- 크기 : 일반 PC 용(DIMM) > 노트북 및 소형 기기용(SO-DIMM) > 온 보드 칩셋
- DDR 버전 : DDR 2 → DDR 3 → DDR 4 → DDR 5
- 제조사 : 삼성 / 하이닉스 / 마이크론
- 추가 기능 : 오버클럭 프로필(XMP/EXPO), 오류 수정(ECC, ECC/REG(RDIMM))
구매 가이드
램 구매 전에 확인할 것은 장착할 규격이 PC인가 노트북인가 그리고 DDR 버전, 그리고 추가 장착할 빈 슬롯이 몇개 있는지의 3가지를 확인하고 구매하면 된다.
속도야 빠를 수록 좋지만, DDR 버전에서 어느정도 결정 되고, 용량을 다 쓰지 않는다면 낭비일 수는 있으나 기본적으로 용량은 클 수록 좋다. 만약 속도가 다른 램 두개를 끼웠다면 낮은 속도쪽으로 맞춰서 동작하므로 참고.
PC 램 슬롯이 4개인데 2개만 꼽아서 쓰는 경우 보드마다 다를 수 있지만 보통 2 / 4번에 장착하는 편이 좋다. 메인보드 메뉴얼에 추천 장착 위치가 있으므로 참고.
추가로, DDR4 램에서는 램 한개를 장착했을 때 보다 2개 장착시 대역폭 증가로 성능 이점이 컸었으나, DDR5에서는 단일 램에서 듀얼 채널을 지원하며 명확한 이점이 없으므로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관련 글
노트북 램 고르고 추가 교체하는 방법
컴퓨터에서 램은 비유하자면 '작업 책상'에 해당한다. 컴퓨터의 성능은 일반적으로 '작업자'라고 할 수 있는 CPU와 GPU에 의해 좌우되고 책상의 역할인 램의 성능은 이 둘만큼 큰 영향을 끼치지
techwave.tistory.com
컴퓨터 사양 보는 법 : CPU, 그래픽, 램, SSD, HDD
컴퓨터의 사양 / 성능 컴퓨터를 구매하기 전, 성능올 볼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은 컴퓨터의 중앙 처리장치이자 성능의 핵심적인 부품인 'CPU', 그리고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부품인 '그래픽 카드',
techwave.tistory.com
'제품 종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델 노트북 종류 정리 [ 델 프로 / 프리미엄 / 프로 맥스 / 플러스 ] (0) | 2025.07.15 |
---|---|
레이저 노트북 종류 정리 [ 레이저 블레이드 14 / 16 / 18 ] (0) | 2025.07.15 |
애플 제품 시리즈 종류 정리 (2) | 2025.07.11 |
모바일 워크스테이션 노트북의 특징과 종류 (2) | 2025.07.11 |
애플 노트북, 맥북 시리즈 종류 정리 [ 에어 13 / 15 / 프로 14 / 16 ] (0) | 2025.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