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AMD 라이젠 CPU 8000 / 7000 / 6000 번대에 들어가는
[ AMD Radeon 780M / 760M / 740M / 680M / 660M / 610M ]
내장 그래픽 성능에 대해 알아봅니다
내장 그래픽이란?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계산기인데, 이 계산을 담당하는 핵심 장치는 높은 연산 성능을 가진 중앙 처리 장치(CPU), 그리고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 표현을 위해 많은 연산을 동시에 수행하는 그래픽 처리 장치(GPU)의 두 가지다.
그리고 내장 그래픽 처리 장치(iGPU)란 이 CPU와 GPU를 합쳐 하나의 칩셋으로 만든 CPU의 그래픽 처리 장치를 의미한다. 초기의 iGPU는 GPU가 고장 나거나 없을 때 최소한의 화면 표시를 위해 CPU에 추가하는 개념이었지만 현재는 성능을 많이 끌어올려 외장 GPU 없이도 꽤나 높은 성능을 낼 수 있게 되었다.
AMD의 라데온 그래픽스 내장 그래픽 개요
AMD는 CPU 제조사이기도 하지만 GPU도 꾸준히 생산하고 있는 회사다. 따라서 내장 그래픽에서도 꽤 좋은 성능을 갖춘 제품을 출시할 수 있었고, 상위 내장 그래픽인 Radeon 780M의 경우 엔비디아 데스크탑 GPU인 GTX 1050Ti 급의 성능을 갖추고 있다.
iGPU 명칭
|
적용 CPU
|
성능 수준 (패스마크)
|
Radeon Vega X
|
Ryzen 3000번대
|
500 ~ 1,900
|
Ryzen 4 - 5000번대
+ 7000번대 일부 CPU
|
1,400 ~ 3,800
|
|
Radeon XX0M
|
Ryzen 6 - 8000번대
|
1,100 ~ 7,100
|
※ 링크 클릭 시 이전 버전 포스팅으로 이동
AMD CPU 내장 그래픽의 기본 명칭은 Radeon Graphics로 볼 수 있지만, 세대에 따라 명칭을 위와 같이 바꾸었다. 세대가 지날수록 GPU 성능이 올라가는데, 7000번대의 경우 이전 아키텍처의 재활용 버전이 섞여 있으므로 주의.
이번에 알아볼 라데온 그래픽 버전은 6 - 8000 번대 Zen3+ / Zen4 아키텍처 CPU의 내장 그래픽이다.
AMD Radeon 7X0M & 6X0M 벤치마크 성능
iGPU 명칭
|
적용 CPU
|
성능 수준 (패스마크)
|
RTX 4090 Laptop
|
최고 사양 노트북
|
28,000
|
RTX 4050 Laptop
|
고사양 노트북
|
14,500
|
RTX 3050 (4/6GB) Laptop
|
외장 그래픽 노트북
|
9,500 ~ 10,500
|
Geforce GTX 1060
|
배틀 그라운드 권장 사양
|
9,000 ~ 10,000
|
AMD Radeon 780M
(12Core 2800Mhz)
|
AMD Ryzen 9 8945HS
AMD Ryzen 9 7940HS
|
7,100
|
GTX 1650 Laptop
|
구형 외장 그래픽 노트북
|
7,000
|
AMD Radeon 780M
(12Core 2700Mhz)
|
AMD Ryzen 7 8845HS
AMD Ryzen 7 8840HS
AMD Ryzen 7 8840U
AMD Ryzen 7 7840HS
AMD Ryzen 7 7840U
|
6,900
|
Geforce GTX 1050 Ti
|
패스 오브 엑자일 권장 사양
|
6,300
|
AMD Radeon 680M
(12Core 2400Mhz)
|
AMD Ryzen 9 6980HX
AMD Ryzen 9 6980HS
AMD Ryzen 9 6900HX
AMD Ryzen 9 6900HS
|
5,100 ~ 6,100
|
Geforce GTX 1050
|
로스트 아크 권장 사양
|
5,100
|
AMD Radeon 760M
(8core 2600Mhz)
|
AMD Ryzen 5 8645HS
AMD Ryzen 5 8640HS
AMD Ryzen 5 7640HS
AMD Ryzen 5 7640U
|
5,900
|
AMD Radeon 760M
(8core 2500Mhz)
|
AMD Ryzen 5 8640U
|
5,700
|
GTX 1050 Laptop
|
구형 외장 그래픽 노트북
|
4,500
|
Geforce GTX 660
|
GTA 5 권장 사양
|
4,000
|
AMD Radeon 660M
(6core 1900Mhz)
|
AMD Ryzen 5 7535HS
AMD Ryzen 5 7535U
AMD Ryzen 5 6600H
AMD Ryzen 5 6600HS
AMD Ryzen 5 6600U
|
3,500 ~ 4,000
|
AMD Radeon 740M
(4core 2800Mhz)
|
AMD Ryzen 5 7545U
|
3,600
|
AMD Radeon 740M
(4core 2500Mhz)
|
AMD Ryzen 5 8540U
AMD Ryzen 3 8440U
AMD Ryzen 5 7540U
AMD Ryzen 3 7440U
|
3,400
|
Geforce GTX 460
|
피파 온라인 4 권장 사양
|
2,200
|
AMD Radeon 660M
(4core 1800Mhz)
|
AMD Ryzen 3 7335U
|
2,100
|
AMD Radeon 610M
(2Core 2200Mhz)
|
Ryzen _ 7_4_ HX CPU
|
1,500
|
Intel UHD 630
|
리그 오브 레전드 권장 사양
|
1,200
|
AMD Radeon 610M
(2Core 1900Mhz)
|
AMD Ryzen 5 7520U
AMD Ryzen 3 7320U
AMD Athlon Gold 7220U
AMD Athlon Silver 7120U
|
1,100
|
현재까지 출시된 6000 ~ 8000번대 CPU의 내장 그래픽과 그 성능은 위와 같다.
신규 모델명
|
구 모델
|
설계 명칭
|
7_30
|
Ryzen 5000 번대
|
Zen 3
|
7_35
|
Ryzen 6000 번대
|
Zen 3 +
|
7_4_
|
신형
|
Zen 4
|
7000번대 CPU의 경우 10의 자리 숫자에 따라 신형인지 이전 세대의 재활용인지의 여부가 달라진다.
Zen 3+ 기반 내장 그래픽은 6X0M, Zen 4 기반 내장 그래픽은 7X0M 이 들어가며, 고사양 CPU인 HX CPU의 경우 외장 그래픽 사용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예외적으로 610M 내장 그래픽이 탑재된다.
기본적으로 CPU 성능이 올라가면 내장 그래픽 성능도 같이 올라간다고 보면 된다.
게임 성능 테스트
680M vs 780M
신형인 780M 쪽이 성능이 더 좋다.
780M + RAM 4800Mhz
vs
780M + RAM 5600Mhz
내장 그래픽은 램 속도에 따라 성능 차이가 크게 벌어진다.
같은 내장 그래픽이더라도 램 클럭이 높은 노트북 쪽이 좋다.
780M + RAM 5600Mhz
vs
GTX 1650 4GB
PassMark 벤치상 비슷한 점수를 내는 780M과 노트북용 GTX 1650 비교
일부 게임에서는 GTX 1650이 +10~20% 정도 높은 프레임이 나오고, 일부 게임에서는 동일 성능이 나온다.
게이밍 성능
라이젠 내장 그래픽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게임은 위의 성능표를 참고하면 된다.
다만 주의할 점은 FHD 60FPS 정도를 기준으로 하는 권장 사양이라는 점인데, 내장 그래픽 활용 + 고해상도 조합된 노트북의 경우, 더 높은 사양을 요구하게 된다는 점이다. 창모드 FHD로 실행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권장 사양 이상의 GPU가 필요하다.
QHD의 경우 FHD 대비 화소 수가 1.77배, 4K의 경우 4 배이다. 그렇다고 필요한 GPU 성능이 4배가 되는 것은 아니고, 게임에 따라 해상도가 높아질 때 요구하는 GPU 성능이 다르다. 그래도 통상적으론 고해상도에서 기존 FHD 대비 1.5배 / 2배 이상의 GPU 성능이 요구된다.
라데온 APU는 '스팀 덱'용으로 활용되어 대부분의 고사양 스팀 게임 플레이에 무리가 없는데, 이는 1280 x 800의 FHD 대비 화소 수가 절반인 HD 해상도의 작은 화면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4K 디스플레이의 경우 딱 FHD 1/4 크기이므로 FHD 해상도 설정으로 하면 되지만 QHD 디스플레이 노트북으로 게이밍을 내장 그래픽으로 돌릴 생각이라면, FHD 전체 화면 설정을 하면 화면이 좀 깨질 수 있다. 그러므로 QHD 노트북에서 게이밍을 생각하는 경우 권장 사양이 iGPU 대비 더 낮은 경우에 고려하자.
스펙 시트
아래는 AMD Ryzen 7 8840HS의 내장 그래픽 Radeon 780M 2700Mhz의 성능 사양이다.
항목
|
내용
|
그래픽 그래픽 모델
|
AMD Radeon™ 780M
|
그래픽 코어 수
|
12
|
그래픽 주파수
|
2700 MHz
|
DirectX® Version
|
12
|
DisplayPort™ Version
|
2.1
|
DisplayPort Extensions
|
Adaptive-Sync , HDR Metadata , UHBR10
|
DisplayPort Max Refresh Rates (SDR)
|
7680x4320 @ 60Hz
3840x2160 @ 240Hz 3440x1440 @ 360Hz 2560x1440 @ 480Hz 1920x1080 @ 600Hz |
DisplayPort Max Refresh Rates (HDR)
|
7680x4320 @ 60Hz , 3840x2160 @ 240Hz , 3440x1440 @ 360Hz , 2560x1440 @ 480Hz , 1920x1080 @ 600Hz
|
HDMI® Version
|
2.1
|
HDCP Version Supported
|
2.3
|
USB Type-C® DisplayPort™ Alternate Mode
|
예
|
Multi-Monitor Support
|
예
|
Max Displays
|
4
|
AMD FreeSync™
|
예
|
Wireless Display
|
Miracast
|
Max Video Encode Bandwidth (SDR)
|
1080p630 8bpc H.264,
1440p373 8bpc H.264, 2160p175 8bpc H.264, 1080p630 8bpc H.265, 1440p373 8bpc H.265, 2160p175 8bpc H.265, 4320p43 8bpc H.265, 1080p864 8/10bpc AV1, 1440p513 8/10bpc AV1, 2160p240 8/10bpc AV1, 4 320p60 8/10bpc AV1 |
Max Video Decode Bandwidth
|
1080p60 8bpc MPEG2,
1080p60 8bpc VC1, 1080p786 8/10bpc VP9, 2160p196 8/10bpc VP9, 4320p49 8/10bpc VP9, 1080p1200 8bpc H.264, 2160p300 8bpc H.264, 4320p75 8bpc H.264, 1080p786 8/10bpc H.265, 2160p196 8/10bpc H.265, 4320p49 8/10bpc H.265, 1080p960 8/10bpc |
AMD SmartShift MAX
|
예
|
AMD SmartAccess Memory
|
사용 가능
|
자세한 내장 그래픽 사양은 AMD 사이트에서 CPU 모델명으로 검색해서 확인할 수 있다,
라데온 그래픽 코어는 64개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고, 12개 코어인 780M은 768개의 유닛으로 구성되는데 이 유닛 하나가 엔비디아 GPU로 치면 CUDA 코어에 해당한다.
GPU
|
AMD Radeon 780M
|
GTX 1650 모바일
|
계산 장치 수
|
768
|
1,024
|
장치 속도
|
2700 MHz
|
1,245 ~ 1,560 Mhz
|
FP32 연산량
|
4147.2 Gflops
|
3194.88 Gflops
|
PassMark 벤치마크 상 비슷한 성능 수치가 나오는 외장 그래픽 nVidia Geforce GTX 1650 노트북 GPU와 코어 수와 코어 성능 단순 비교 시 780M이 우위에 있다. 그럼에도 비슷한 성능을 낼 수 있는 이유는 드라이버의 기술적 차이와 외장 그래픽에 별도로 포함되는 Vram의 차이로 볼 수 있다.
램 클럭에 따른 성능 차이
그래픽 성능이 요구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데이터는 SSD - 램 - 비디오 램 - GPU 순서로 이동하는데, 내장 그래픽의 경우 별도의 Vram이 적기 때문에 기본 램을 빌려서 사용한다.
GPU 처리 능력이 높더라도, 데이터의 이동이 느리면 실 사용 성능이 낮게 나오므로, 내장 그래픽에서는 램의 속도와 대역폭이 중요하다. 따라서 같은 내장 그래픽이더라도, 램 클럭이 빠를수록 성능이 높고, 추가로 램 하나를 장착할 때 보다 2개의 램으로 듀얼 램을 구성해 대역폭을 높이면 성능이 크게 뛴다.
어지간하면 듀얼 채널 구성이 되어있긴 하겠지만, 성능이 예상보다 안 나온다면 확인이 필요하겠다.
구매 가이드
기본적으로 라이젠 5 이상이라면 충분한 그래픽 성능을 제공하고 라이젠 7 이상에서 높은 내장 그래픽 성능을 가져갈 수 있다. 7000번대의 경우 7_35 / 7_4_ 제품이 본 포스팅에서 설명한 내장 그래픽을 탑재하고 있고, 30번대는 이전 그래픽이므로 확인이 필요.
일정 수준 이상의 GPU 성능이 필요한 영상 작업 및 오브젝트 양이 많지 않은 3D 모델링 및 게이밍에서 활용이 가능하며 GPU보다 CPU 성능이 크게 요구되는 경우 상위 제품으로 가면 충분한 성능이 보장된다.
GPU 성능 요구량이 더 높은 프로그램을 고수준으로 다루거나 높은 그래픽 설정으로 게이밍을 하는 경우는 외장 그래픽 제품으로 가면 된다.
관련 글
이전 버전
'노트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6월 노트북 추천 (0) | 2024.06.03 |
---|---|
맥북 에어 M3 구매 가이드 [ 2024 Macbook Air 13 인치 / 15 인치 ] (1) | 2024.05.22 |
맥북 CPU, 애플 M3 프로세서 성능 설명 [ Apple Macbook M3 ] (0) | 2024.05.09 |
인텔 코어 1세대 노트북 CPU 성능 설명 [ intel Core 7 150U 5 120U 3 100U ] (1) | 2024.05.05 |
인텔 코어 i 14세대 노트북 HX CPU 성능 설명 [ intel Core i9-14900HX to i5-14450HX ] (1) | 2024.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