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컴퓨터의 경우, CMD를 통한 KMS 인증으로 비용 없이 편법으로 윈도우 인증을 받고, 6개월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이후 풀리면 같은 방법으로 재인증을 받으면 된다.
인증 과정은 빠르면 1분 내로 완료된다.
[ 간단 용어 설명 ]
CMD : Commad (명령) 윈도우의 명령 프롬프트
KMS : Key Management Service (키 관리 서비스) 제품 키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기관용 정품 인증
|
CMD를 통한 KMS 정품 인증 방법
[ 순서 요약 ]
|
- 명령 프롬프트 또는 CMD를 검색하여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다.
2.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KMS 클라이언트 제품 키를 등록한다.
slmgr /ipk <제품키>
예시 : slmgr /ipk W269N-WFGWX-YVC9B-4J6C9-T83GX

운영 체제 버전
|
KMS 클라이언트 제품 키
|
Windows 11 Pro
Windows 10 Pro
|
W269N-WFGWX-YVC9B-4J6C9-T83GX
|
Windows 11 Pro N
Windows 10 Pro N
|
MH37W-N47XK-V7XM9-C7227-GCQG9
|
Windows 11 Home
Windows 10 Home
|
TX9XD-98N7V-6WMQ6-BX7FG-H8Q99
|
Windows 11 Home N
Windows 10 Home N
|
3KHY7-WNT83-DGQKR-F7HPR-844BM
|
Windows 11 Education
Windows 10 Education
|
NW6C2-QMPVW-D7KKK-3GKT6-VCFB2
|
Windows 11 Education N
Windows 10 Education KN
|
2WH4N-8QGBV-H22JP-CT43Q-MDWWJ
|
※ 윈도우 N 버전(No media)은 음악 플레이어 및 동영상 플레이어 등이 기본 설치되지 않은 버전이다.
|
3.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 KMS 사설 서버에 연결한다.
slmgr /skms kms8.msguides.com
[ 사설 서버 주소 ]
kms8.msguides.com
kms9.msguides.com
kms.loli.beer
|
4.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 인증을 완료한다.
slmgr /ato
인증은 6개월 유지되며, 인증이 해제되면 같은 방식으로 다시 인증받으면 된다.
인증에 문제가 있는 경우 제품키를 올바르게 넣었는지 확인하고, 종종 서버 연결 문제로 인증이 되지 않는 경우 다음에 다시 시도하거나 다른 사설 서버를 사용하자.
아래 명령어로 인증 기한을 확인할 수 있다.
slmgr -xpr
<추가 slmgr 명령어>
slmgr /upk : 윈도우 키 삭제
slmgr / cpky : 레지스트리 삭제
slmgr /rearm : 라이센스 상태 재설정
KMS 인증이란?

Key Management Service 인증은 공공 기관같이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는 컴퓨터에서 인증키를 보호하기 위해, 인증 키는 서버 컴퓨터에 두고, 일반 컴퓨터는 서버에서 인증받는 형식으로 라이센스를 인증해 사용하는 방식이다.
위의 방법은 다른 사람이 열어둔 '사설 서버'를 통해 인증을 받는 방법으로, 위의 인증 방식의 허점을 이용한 라이센스 위반에 해당하는 인증으로 보면 된다.
법에 저촉될 위험은 있으나, MS에서도 개인을 단속한 사례는 드물어서 많은 사람들이 임의로 쓰고 있는 방식.
위의 인증을 자동화하고, 주기적으로 자동 인증을 시켜주는 'KMS AUTO'라는 프로그램도 있는데, 프로그램 구성이 간단하고, 변조로 바이러스를 넣을 가능성이 있어 CMD로 직접 명령어를 입력하는 편을 추천한다.
정품 구매

상업적 이용이 제한된 개인용
|
상업적 이용이 허가된 기업용
|
6개월마다 다시 인증받기 귀찮거나, 단속 등의 리스크가 있는 기업의 경우 정품을 사용하면 된다.
찾아보면 5만 원 이하의 가격에 구매하면 인터넷으로 인증키만 보내주는 판매 사이트 등이 있는데, 이 또한 라이센스 위반 키다. 올바른 라이센스로 이용하려고 한다면 실물 배송되는 제품 구매를 추천한다.
컴퓨터 구매 / 포맷 후 [ 윈도우 필수 프로그램 ]
예전에는 윈도우 설치 후 필수 프로그램으로 백신을 비롯해 설치할 프로그램이 있었으나, 대부분의 기본 프로그램을 윈도우에서 제공하게 되면서 진짜 ‘필수’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은 종종
techwave.tistory.com
'컴퓨터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3가지 방법으로 윈도우 11 설치 USB 만들기 (9) | 2025.08.02 |
---|---|
윈도우 인증키 라이센스 종류 정리 [ FPP / ESD / DSP / COEM / OEM / KMS / MAK / HOME / PRO ] (0) | 2025.08.02 |
RTX 50 시리즈 성능 및 가격 개요 [ 엔비디아 블랙웰 GPU ] (0) | 2025.07.29 |
인기 게임 시스템 권장 사양 목록 / 추천 게이밍 PC 및 노트북 (0) | 2025.07.28 |
애플 실리콘 M 맥, 맥북 CPU 세대별 성능 순위 (0) | 2025.07.20 |